지하철, 버스, 광역 버스 등 대중 교통으로 출퇴근 하는 분들은 대중 교통까지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카드 교통비 할인 및 마일리지 적립을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적립 비율 및 사용 방법과 마일리지 적립, 이용 제한 등 주의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알뜰교통카드 적립 비율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사람이 도보 및 자전거로 대중 교통까지 이동할 때 포인트를 적립하여 교통비를 절약하는 방법이 알뜰 교통 카드 사용입니다. 대중 교통까지 이동 거리가 800m 정도일 때 카드사 할인 및 마일리지 적립까지 약 30% 할인 가능합니다.
마일리지 일반 적립 비율은 2천원 미만 최대 250원, 2~3천원 미만 최대 350원, 3천원 이상 최대 450원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등 저소득층 적립 비율은 2천원 미만 350원, 2~3천원 미만 최대 500원, 3천원 이상 650원입니다.
최대 적립되는 보행 및 자전거 이동 거리는 800m로 이동 거리 800m 미만 시 마일리지는 비례 지급됩니다. 미세 먼지 저감 조치 발령 시 적립 마일리지는 2배 혜택이 있으며, 매월 최대 적립 횟수는 44회로 제한됩니다.
육아 자진퇴사 실업급여 신청 주의점
육아로 인해 육아 휴가나 휴직을 신청할 수 있지만, 퇴사해야 할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육아로 인한 자진 퇴사 시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한 상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육아로 인한 퇴사 실
hovan13.tistory.com
◑ 대중 교통비 지원 알뜰 교통 카드 사용 방법
알뜰 교통 카드는 플라스틱 카드나 앱을 통한 발급이 가능하며, [알뜰교통카드 앱] 설치 후 카드 번호 등록이 필요합니다. 출퇴근 시 알뜰 교통 카드 앱 실행이 필요하며, 출발 시 [출발 하기] 버튼을 목적지 도착 시 [도착] 버튼을 선택해 주어야 합니다.
◑ 알뜰교통카드 사용 주의점
마일리지 적립은 월 15회 이상 사용해야 가능하며, 가입 첫 달은 횟수 제한이 없습니다. 알뜰 교통 카드 앱 가입 연령은 만 19세 이상이며, 주민 등록 주소지 확인이 되지 않을 경우 가입이 불가능 합니다. 겨울 깔깔이 패션으로 출퇴근 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는 카드입니다.
외국인은 외국인 등록증, 저소득층은 수급자 증명서 또는 차상위 확인서가 필요하고, 스마트폰 본인 인증은 필수입니다. 후불 교통 카드 발급 시 신한, 우리, 하나 체크 카드를 발급하면 되고, 선불 카드 사용 시 티-머니, 제로 페이, 모바일 캐시비, 원패스로 발급 가능합니다.
앱 카드 발급 시 지역에 따라 지원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적립 금액이 다를 수 있으니 확인 후 가입해야 합니다. 출퇴근 거리가 길어 거주 지역을 벗어나는 분들은 광역 알뜰 교통 카드로 발급하시기 바랍니다.
댓글